분류 전체보기 73

[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: 100분 완성] 변수

변수 let 최초에 선언하는 모든 변수에 let을 붙인다면 이미 사용하고 있을 때 error를 통해 알 수 있음 let name="Mike"; let name ="Google"; //error! let name="Mike"; name = "Google"; //ok const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 (수정 X) 주로 파이(π), 최댓값, 생일 등 바뀌지 않는 값을 입력할 때 사용하고, 대문자로 표시 (다른 개발자들에게 상수라는 것을 표시해주기 위함) const PI = 3.14; const SPEED_LIMIT = 50; const BIRTH_DAY = '2021-07-17'; 결론 →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, 변하지 않는 값은 const로, 변할 수 있는 값은 let으로 선언하자 +) ..

Language/Javascript 2021.07.30

[C언어] 자료구조를 위한 기초 문법 리뷰 - 문자열

문자열 문자열은 char타입의 배열의 각 칸마다 문자 하나씩 저장된다 문자열을 넣을 배열은 문자열의 길이보다 최소 1은 길어야 한다. (문자열의 끝을 표시하는 역할) char str[6]; str[0] = 's'; str[1] = 't'; str[2] = 'u'; str[3] = 'd'; str[4] = 'y'; str[5] = '\0';//null character. 문자열의 끝의 표시한다 위 방법을 C에서는 " " 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. char str[] = "study";//위의 배열을 사용한 코드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char *str = "study";//결과는 같지만 이렇게 정의된 문자열은 수정이 불가능하다 C에서 문자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string.h 라이브러리를..

Language/C 2021.02.17

[C언어] 자료구조를 위한 기초 문법 리뷰 - 포인터, 배열, 동적 할당

포인터(Pointer)란? 메모리 주소를 값으로 가지는 변수 포인터 변수의 선언 타입명 * 변수명; * : 뒤에 오는 변수가 포인터임을 알려주는 기호 ex. int * ptr; ▷ ptr은 포인터 변수이기 때문에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. 그 메모리 주소에 저장되는 타입이 int 타입이다. 연산자 & 변수로부터 그 변수의 주소를 추출하는 연산자 ex) int c = 5; //정수형 변수 c는 12의 값을 가진다 int *ptr; //ptr은 정수형 포인터 변수이다 ptr = &c; //ptr에는 c의 주소값이 저장된다 Q. 주소는 왜 4씩 차이 날까? A. 변수를 int형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하나의 변수 당 4 byte씩 공간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이다. 포인터 변수 치환 int x = 1, y = 2; i..

Language/C 2021.02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