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 모델의 종류
네트워크 계층 모델
- TCP/IP 모델
2. OSI 7계층
: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누어둔 것
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
자세히 살펴볼 프로토콜: 이더넷, IP, ICMP, ARP, TCP, UDP, HTTP
TCP/IP 모델과 OSI 7계층 모델 비교
기준 | TCP/ID | OSI 7계층 |
계층의 수 | 4계층 | 7계층 |
분류 기준 | 프로토콜 기반 | 역할 기반 |
특징 |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 |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 |
- 공통점: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, 계층간 역할 정의
패킷
패킷이란?
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로 네트워크에서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
패킷의 구조: 제어정보 + 사용자 데이터(페이로드)
- 헤더
- 페이로드: 실질적으로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
- 풋터: 일반적으로 잘 사용 안 함
캡슐화 Encapsulation
: 여러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최종적으로 보낼 때 패킷을 만드는 과정
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내려가며 진행 → 하위 프로토콜 앞에 상위 프로토콜이 올 수 없음
- 페이로드: (페이로드: (페이로드: HTTP, 헤더: TCP), 헤더: IPv4), 헤더: Ethernet 구조
디캡슐화 Decapsulation
: 패킷을 받았을 때 프로토콜을 하나씩 확인하며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
하위계층에서 상위계층으로 진행
PDU (Protocol Data Unit)
: 계층별 패킷의 이름
실습
프로토콜의 캡슐화된 모습과 계층별 프로토콜들 확인하기
- Wireshark를 통해 패킷을 캡쳐하고 해당 패킷이 어떻게 캡슐화되었나 살펴본다
내용 출처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9nlT52SAcg&list=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&index=4
'Etc. 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 스터디] CPU 스케줄링 (0) | 2022.05.20 |
---|---|
[CS 스터디] IPC (Inter Process Communication) (0) | 2022.05.20 |
[네트워크] Wireshark를 이용하여 사용된 프로토콜 확인하기 (0) | 2022.05.10 |
[네트워크] tracert 맥북 오류 해결 방법, traceroute 의미 (0) | 2022.05.09 |
[네트워크]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(0) | 2022.05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