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련 목차
속성의 개념
속성
- 사전적 의미: 사물의 성질, 특징 또는 본질적인 성질, 실체를 생각할 수 없는 것
- 데이터 모델링 관점에서의 속성의 정의: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
- 업무에서 필요
- 의미 상 더 이상 분리 X
- 엔터티를 설명. 인스턴스의 구성요소
엔터티, 인스턴스, 속성, 속성값의 내용과 표기법
1. 엔터티, 인스턴스, 속성, 속성값의 관계
- 속성: 엔터티에 속한 인스턴스들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항목
-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
-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가짐
-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 값을 가짐
- ex) 이름: 홍길동, 주소: 서울시 강남구, 전화번호: 123-5678, 직책: 대리
- 속성: 이름, 주소, 전화번호, 직책
- 속성값: 홍길동, 서울시 강남구, 123-5678, 대리
속성의 표기법
속성의 특징
-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는 정보
- 정해진 주식별자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짐
- 하나의 속성에 하나의 값만을 가짐
- 하나의 속성에 여러 개의 값이 있는 다중값일 경우 별도의 엔터티를 이용하여 분리
속성의 분류
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
- 기본속성
- 가장 일반적이고 많은 속성
- 속성의 값이 원래 속성을 나타내지 못하면 기본 속성 X
- 설계속성
- 업무 상 존재하지 않지만 설계를 하면서 도출해내는 속성
- 코드성 속성이 대개 이에 속함
- 일련변호: 단일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해 모델 상에서 새로 정의하는 설계 속성
- 파생속성
- 다른 속성으로부터 계산이나 변형이 되어 생성되는 속성
- 보통 계산된 값들이 이에 속함
- 프로세스 설계 시 유의할 점이 많으며 가급적 적게 정의하는 것이 좋음
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
- PK 속성
- FK 속성
- 일반속성
- 엔터티에 포함되어 있고 PK, FK에 포함되지 않은 속성
세부 의미 분리 가능 여부
- 단순형: ex. 성별, 나이
- 복합형: ex. 주소
도메인
- 각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
-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데이터타입과 크기, 제약사항을 지정하는 것
속성의 명명(Naming)
- 용어사전: 속성 이름을 정확히 부여하고, 용어의 혼란을 없애기 위해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업무사전
- 속성명 부여 원칙
- 해당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 부여
- 서술식 속성명 사용 X
- 약어 사용 가급적 제한
- 전체 데이터모델에서 유일성 확보하는 것이 좋음